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불법 주정차 단속 방식 총정리, 절대 안걸리는법 , 과태료 , 시간(주말,공휴일,새벽)

by 포돌이 그림자 2025. 5. 17.
 
반응형

불법주정차 주말,공휴일 단속 시간

 

불법 주정차로 불안하고, 혹시라도 실수로라도 단속되어 과태료가 너무 아깝고 화나는 모든 분들을 위한 글입니다.

단속 방식 총정리

 
 

✅ 1. 단속 방식 전부 정리 – 종류별, 방식별 완전판

단속 종류 누가? 어떻게 찍히는지 단속 / 시간 / 단속 / 시점

① 무인 CCTV 지자체 5분 간격 사진 2장 이상 표지판 기준 자동 과태료
② 이동형 CCTV 차량 구청 계약 차량 차량 루프에 회전 카메라 주로 평일 낮~저녁 1~2분 정지로도 찍힘
③ 단속요원(현장) 인력 (단속반) 스마트폰 or 태블릿으로 사진 촬영 시간표 기준 2~3분 대기 후 바로
④ 경찰 or 모범운전자 경찰, 신고반 실시간 단속 or 앱 신고 탄력적 바로 과태료 or 계도
⑤ 블랙박스 민원신고 시민 누구나 안전신문고 앱 등 시간무관 요건 맞으면 과태료 부과
⑥ AI 카메라 지자체 24시간 녹화 분석 상시 보행자 통행 방해 시 감지

 

 
 

✅ 2. 단속 기준 조건 (사진이 몇 장? 얼마나 서있어야 찍히나?)

 

  • 무인단속 CCTV 기준
    최소 5분 간격 2장 사진 있어야 법적으로 단속 가능
    ▶ 일부 최신 AI 카메라는 3분 이하도 단속
  • 단속요원 현장 촬영
    ▶ 보통 2분 이상 기다린 뒤 사진
    비상등 켜도 소용 없음, 정차 vs 주차 구분 안 됨
  • 블랙박스 신고
    ▶ 영상에 위반 위치, 차량 정차 시간, 위험 상황 보이면 충분

절대 안 걸리는 법

 
 

🟥 ① CCTV 단속 피하기

  • 표지판 항상 확인 (주정차 금지 + 시간대 명시)
  • 주정차 가능 시간”만 정차
  • 무인 CCTV는 차선 가장자리 노란선 또는 노+흰 두줄에 있음 → 빨리 지나치기
  • 최소 5분 이상 정지 시 과태료2~3분 이내 이동 필수
 
 

🟨 ② 이동식 단속 차량 피하기

  • 카메라 회전하는 차량 보이면 즉시 출발
  • 보통 전면 유리에 “단속 중” 문구 있음
  • 단속 차량은 평일 오전~오후 5시 사이 주로 활동
  • 골목도 돌아다님, 특히 민원 많이 들어온 지역
 
 

🟩 ③ 단속요원 실물 회피

  • 오렌지 조끼 입은 사람, 태블릿 들고 있음 → 곧 단속
  • 차량 번호 찍고 종이 스티커 붙이면 끝
  • 비상등 켜도 절대 무효 (주정차 금지 구역은 이유 불문 단속)
 
 

🟦 ④ 민원신고 방어

  • 버스정류장, 횡단보도 근처는 절대 정차 금지
  • 요즘 아줌마/배달기사들 블랙박스 신고 활발함
  • 5분 이하 정차라도 사람이 불편함 느끼면 신고→단속됨

오해와 착각

  • “잠깐 정차했는데요?” → 법적으로 정차든 주차든 시간 오래되면 구분 없음
  • “비상등 켰는데요?” → 법적 효력 없음
  • “사람 타고 있었는데요?” → 단속 가능함, 단 “운전자가 즉시 이동 가능”해야 면책
  • "주차장 근처 도로변은 괜찮죠?" → 구역 설정 안 돼 있으면 단속 100%

 

과태료 및 시간

 
 

위반 장소 / 과태료 / 벌점 / 비고

일반 도로 (단속 구역) 40,000원 없음 이면도로 포함
인도, 횡단보도, 교차로 60,000원 없음 위험 구간
버스정류장 10m 이내 60,000원 없음 표지 없는 곳도 해당
어린이 보호구역 80,000~120,000원 벌점 최대 30점 블랙박스 신고도 위험
소방시설 주변 100,000원 벌점 10점 법적으로 제일 위험
장애인 전용구역 불법주차 100,000원~150,000원 없음 민감 지역, 민원 다수

 

 
 

단속 시간

강남구 07:00~21:00 토 09:00~18:00 매우 강함
마포구 07:00~19:00 단속 안 함 중간
중구 07:00~22:00 토 09:00~21:00 강함
동작구 07:00~19:00 주말 X 약함
종로구 07:00~23:00 토/일 09:00~18:00 매우 강함
강북구 08:00~20:00 단속 거의 안 함 약함

 

➡️ 이처럼 평일·주말·심지어 점심시간 단속 여부도 전부 다릅니다.
➡️ 어떤 구는 주말에 단속을 안 하지만, 종로·중구처럼 주말에 더 강하게 단속하는 곳도 있습니다.

 

무인 CCTV 보통 07~22시 (표지판 기준) 5분 이상 정차 시 과태료 (2장 이상 사진 필요)
단속 요원(현장) 보통 07~19시 2~3분 관찰 후 바로 단속, 민원 있으면 즉시 출동
이동형 CCTV 차량 09~18시 사이 많음 회전형 카메라, 주차차량 촬영 후 자동 보고
주민 민원신고 24시간 블랙박스 영상 or 사진 기반, 보행자 방해되면 바로 과태료

 

✅ [1] 단속시간

  • 구청 홈페이지 or 교통지도과에 전화해서 확인
  • 예: “강서구 화곡동 00길, 평일 몇 시부터 단속하나요?”

✅ [2] 표지판 & 노면 확인

  • 빨간 표지판: "주정차금지" / “07~22” 등 시간 표시 꼭 확인
  • 노란선 한 줄 or 두 줄, 노+흰 점선 = 100% 단속 구간
  • “단속카메라 작동 중” or “AI 단속 중” 스티커 확인

✅ [3] 민원 민감도 (중요)

  • 주택가 앞, 학원가, 유치원 앞, 버스정류장 등 → 민원 많음
  • 이런 곳은 무조건 단속 → CCTV 없어도 사람 찍어서 신고함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