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브레이크 잡음 원인과 해결 방법
1. 브레이크 패드 마모 or 저가형 패드
가장 흔한 원인
- 브레이크 패드가 닳아 금속 패드 경고판이 디스크에 닿을 때 소리가 납니다.
- 혹은 저품질 패드는 마찰 소음 억제가 안 돼 ‘낑~’, ‘끼익~’ 소리가 나기도 합니다.
- 특히 천천히 브레이크 밟을 때 자주 발생하고, 날씨나 온도, 습기에도 영향받음.
🔧 해결 방법:
- 패드 마모량 확인
- 패드가 남았어도 품질이 낮으면 국산 정품 or 저소음 패드로 교체 추천
2. 브레이크 패드 가이드핀(슬라이딩 핀) 윤활 부족
🛠 중고차에서 자주 발생
- 브레이크 캘리퍼가 움직일 때 가이드 핀이라는 부분이 미끄러져야 정상 작동하는데,
- 윤활이 부족하거나 이물질 끼면 고무 끼익~ 찌익~ 하는 소리가 납니다.
- 심하면 한쪽 패드만 빨리 닳거나 제동 불균형도 생길 수 있습니다.
🔧 해결 방법:
- 가이드핀 청소 및 전용 구리스 재도포
- 캘리퍼 오버홀 수준의 정비 필요시 공임 4~8만 원 전후
3. 브레이크 디스크 표면 불균형 (스크래치, 뜨거운 열로 인한 변형)
- 패드와 디스크가 고르게 맞물리지 않으면, 일정 구간마다 낑~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.
- 특히 브레이크 자주 쓰는 배달 차량에서 디스크 ‘뜨거움-급냉’을 반복하면 생김.
🔧 해결 방법:
- 디스크 표면 상태 확인
- 필요시 연마(정삭) or 교체 (연마비 3~4만 원, 교체 시 5~10만 원 부품비)
4. 브레이크 백플레이트(쉴드) 변형 또는 이물질 접촉
- 디스크 뒤쪽에 있는 철판(쉴드)이 살짝 휘어서 디스크에 접촉하면 간헐적 금속 마찰음 발생
- 고드름, 자갈, 흙, 녹물 등이 끼는 경우도 있음
🔧 해결 방법:
- 휠 탈거 후 백플레이트 확인 및 교정
- 이물질 제거
5. 날씨/습기 영향 (비 온 후 또는 이른 아침 심해짐)
- 디스크에 물막이나 녹이 살짝 생기면 브레이크 밟을 때마다 낑~ 소리 납니다.
- 하지만 보통 1~2번 브레이크 밟으면 사라짐. 이건 정상 범주입니다.
🔧 해결 방법:
- 계속 지속되면 이상, 1~2회 후 사라지면 문제 아님
- 세차 후나 장마철엔 일시적으로 흔함
요약
패드 마모 | 패드 점검/교체 | 5~10만 원 |
가이드핀 | 탈거, 청소, 윤활 | 4~8만 원 |
디스크 문제 | 연마 or 교체 | 3~10만 원 |
백플레이트 | 교정 or 이물질 제거 | 소액 (공임 1~2만 원) |
🔧 자가 점검 팁
- 소리가 날 때, 유리창 열고 바퀴 방향 확인해 보세요 → 좌/우 특정 바퀴에서 나면 해당 쪽만 점검해도 됨
- 고속에서는 소리 안 나고 저속 정지 직전에만 난다? → 패드/가이드핀 문제 가능성 높음
브레이크 고장 ( 신호 ) 증상
증상 / 원인 / 위험도
브레이크 밟을 때 ‘낑~’, ‘찌익’ 소리 | 패드 마모, 윤활 부족, 디스크 불균형 | ⚠️ |
제동 시 차량이 한쪽으로 쏠림 | 패드/캘리퍼 문제 | ⚠️ |
브레이크 밟을 때 떨림 | 디스크 휨, 불균형 | ⚠️ |
브레이크 페달 푹 들어감 | 오일 누유, 공기 혼입 | 🔴 매우 위험 |
브레이크 밟아도 감속 안 됨 | 페이드 현상 | 🔴 매우 위험 |
브레이크 페달에서 ‘덜컥’ ABS 작동 느낌 | 빗길/급제동 시 정상 (ABS 작동) | ✅ 정상 |
셀프 테스트
한 가지라도 '예' 라면 정비 권장입니다.
[ ] 정지 후 출발할 때 브레이크에서 이질적인 소리/반응이 느껴지나?
[ ] 브레이크 페달 감이 이전보다 깊거나 무르지 않은가?
[ ] 제동 시 떨림, 쏠림, 끌리는 느낌은 없는가?
[ ] 차량 멈췄는데 브레이크 밟아도 차가 미세하게 움직이나?
[ ] 고속에서 브레이크 밟을 때 핸들이 떨리진 않나?
주요 Q&A
Q. 브레이크 패드 두껍게 남았는데도 소리 나는 건 왜 그래요?
👉 저가형 패드, 윤활 불량, 디스크 불균형 가능성 있음
Q. 앞바퀴만 교체해도 되나요?
👉 보통 앞패드 마모가 훨씬 빠름. 앞만 교체해도 되지만, 뒤도 점검 필수
Q. 주행 중 브레이크 소리가 사라졌다가 다시 나요. 왜요?
👉 열 받았을 때만 소리 나는 거면 디스크, 패드, 슬라이딩핀 열 팽창 영향 가능성
브레이크 관리 항목 / 주기
브레이크 패드 점검 | 8천~1.5만 km 마다 (가혹 조건 시) |
브레이크 오일 교환 | 2년 or 3~4만 km |
브레이크 디스크 상태 확인 | 패드 2번 교체마다 1회 |
슬라이딩핀 윤활 | 1~2년에 1회 |
자가 점검 | 월 1회 정차 후 브레이크 반응 체크 |
🧼 브레이크 패드 & 디스크 점검 주기
브레이크 패드 | 일반적으로 2만~3만 km | 가혹 환경은 8천~1.5만 km |
브레이크 디스크 | 일반적으로 5만~7만 km or 패드 2회 교체 시 | 가혹 확경시 디스크 손상 여부마다 |
- 패드 마모선까지 닳기 전에 교체 필수
- 디스크 연마는 1~2회까지만 가능, 그 이상은 교체해야 합니다.
🛢 브레이크 오일 교환
교환 주기 | 2년 or 3~4만 km |
증상 | 페달이 푹푹 들어감, 제동력 약화 |
왜 중요한가? | 수분 흡수 → 끓는점 저하 → 열받으면 제동력 사라짐 (페이드 현상) |
🧰 정기적인 브레이크 시스템 점검
- 슬라이딩핀 윤활, 캘리퍼 작동상태 확인, 패드 편마모 여부, 디스크 표면 균일성 확인
- 정비소에서 정기 점검 요청
브레이크 습관
브레이크 패드 | 회전하는 디스크(또는 드럼)를 양쪽에서 눌러 마찰 생성 |
브레이크 디스크 | 휠과 함께 회전하며, 패드에 눌려 감속 |
캘리퍼 (브레이크 집게) | 패드를 눌러주는 유압 장치 |
브레이크 오일 (DOT4 등) | 유압을 전달하는 액체 |
마스터 실린더 | 운전자가 밟는 페달 압력을 유압으로 바꾸는 장치 |
ABS (Anti-lock Braking System) | 급브레이크 시 바퀴 잠김 방지 |
🚦 좋은 브레이크 습관
미리미리 브레이크 | 급하게 밟지 말고 미리 감속. 패드 마모 감소 + 연비 개선 |
짧게 여러 번 브레이크 밟기 금지 | 짧고 반복적인 제동은 패드, 디스크에 열 누적 증가 |
브레이크 떼는 타이밍 조절 | 코너 진입 전 감속 완료 → 코너 중엔 밟지 않기 (차량 자세 불안정 방지) |
하체 브레이킹 유지 | 경사로에서 브레이크만 밟기보다 D or B 모드 활용하여 엔진 브레이크 병행 |
🚨 피해야 할 나쁜 습관
내리막에서 브레이크만 밟고 내려감 | 디스크 과열, 페이드 현상, 제동력 상실 가능 |
시동 끈 채 경사로에서 브레이크 밟음 | 브레이크 오일 압력 없음 → 제동력 약화 |
세차 직후 급제동 | 디스크에 열+습기 → 휨 현상, 스크래치 발생 가능 |
발을 브레이크 페달 위에 올리고 운전 | 쓸데없는 마찰로 패드 마모 가속 |
반응형